-
우리나라의 최근 10년간 사망자수는 늘어났을까요? 줄어들었을까요? 장례 업계에 종사하고 있는 분이라면 아마 사망자수에 대한 관심이 높으실 거라고 예상합니다. 이 궁금증을 함께 해결해 보겠습니다.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최근 10년간의 사망자 통계를 조사해 보았습니다. 인구분포를 고려하여 예상해 본다면 사망자수는 아마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네 맞습니다. 실제로 우리나라 사망자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럼 실제 데이터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2012년 사망자수는 267,221명을 기록하였고 2021년 사망자수는 317,800명을 기록하였습니다.
대한민국 사망자수 통계청 자료
년도 사망자 수(명) 2012 267,221 2013 266,257 2014 267,692 2015 275,895 2016 280,827 2017 285,534 2018 298,820 2019 295,110 2020 304,948 2021 317,800 대략적인 수치로 보더라도 약 20%가 증가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겠습니다. 그만큼 사망자수가 많이 증가했습니다. 인구구조가 고령화되고 있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추정해 볼 수 있겠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동일하게 유지될 것임을 예상해 볼 수 있겠습니다. 최소 10년 이상은 증가하지 않을까 단순히 예측해 볼 수 있겠지만 보다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구 구조에 대해 확인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사망자수의 증가는 곧 장례 수요의 증가를 뜻합니다. 장례식장, 추모공원 등의 장사시설, 화장장 등의 장례 관련 시설의 증대는 필수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장사문화 > 장사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선호 장례 방법 통계조사 자료 분석 (0) 2022.09.14 2021년 기준 우리나라 고령자 및 노인 인구 (1) 2022.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