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 9. 5.

    by. 장례전문가 김한별

     고령화 시대에 진입한 우리나라는 실제 어느 정도의 고령자 및 노인 인구가 존재할까요? 통계청에서 조사한 2021년 자료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2021년 우리나라 전국 통계 기준 60세 이상의 인구는 약 1,227만 명입니다. 2021년 기준 우리나라의 총인구가 약  5,174만 명이니 약 23.7%가 고령자 인구로 파악됩니다. 20%가 넘는 인구가 고령자라는 것은 수치로만 생각했을 때 그렇게 와닿지 않는 부분인데요. 실제 고령자 인구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연령층 인구수
    60~64세 3,988,108
    65~69세 2,902,348
    70~74세 2,042,154
    75~79세 1,529,990
    80~84세 1,092,367
    85세 이상 710,634

     

     2021년 고령자 인구 구성을 살펴보면 60~64세가 가장 많은 인구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겠습니다. 고령자 인구 특성상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인구수가 감소하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지만 압도적으로 많은 수를 가만해 본다면 60~64세 인구는 베이비붐 시대의 영향이 크지 않을까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 

     

    2021년 우리나라 고령자 및 노인 인구

     85세 이상 인구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은 평균 수명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겠습니다. 이러한 고령자 인구 분포를 감안해 본다면 앞으로의 장사시설에 대한 수요가 얼마만큼 증가할지 쉽게 예상해 볼 수 있겠습니다. 

     

     노인 인구는 65세 이상 인구를 뜻하므로 2021년 기준 약 828만 명 수준으로 집계됩니다. 즉 노인 인구는 총인구의 16% 수준이 되겠습니다. 앞으로 노인 인구의 비중이 늘어가고 있다는 통계는 추후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2021년 기준 우리나라 고령자 및 노인 인구를 살펴보았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