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묘하면 보통 묘를 없앤다는 의미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정확한 해석입니다. 하지만 좁은 범위의 해석이기 때문에 좀 더 정확히 알아보기 위해서는 넓은 의미의 파묘로 해석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자 그렇다면 파묘는 도대체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파묘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원래 파묘라는 용어는 묘지를 이장한다는 이장의 개념으로 사용되었던 용어 중의 하나입니다. 묘지를 없애고 다른 곳으로 옮겨 모신다는 것의 대체 용어였던 것이죠.
목록
- 파묘는 이장의 한 부분
- 파묘의 절차
- 파묘하는 무덤의 종류
- 파묘를 진행하는 전문가와 비용
1. 파묘는 이장의 한 부분
실제 파묘는 이장의 한 부분에 불과합니다. 묘지를 이장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묘를 없애야 되죠. 기존의 봉분이나 무덤을 걷어내고 고인의 유골을 수습한 뒤 비석이나 상석 등의 묘지 석물을 폐기하고 마무리하는 절차가 바로 파묘이죠.
실제 이장을 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절차가 남아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파묘라는 행위가 순식간에 끝나는 단순한 절차 수준은 절대 아닙니다.
예식과 과정이 존재한다는 것이죠. 파묘는 고인을 모셨던 무덤을 없애는 행위이기 때문에 매우 조심스러운 절차로 진행됩니다.
2. 파묘의 절차
그렇다면 파묘는 어떻게 진행되는지 그 절차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파묘는 가족의 종교에 따라 내용은 차이 날 수 있으나 절차는 거의 비슷하게 진행됩니다.
과정 절차 1단계 종교행사
(인사의 개념)2단계 봉분 허물기
(봉안묘 덮개 개방)3단계 유골 수습
(유골함 꺼내기)4단계 복토
(안장된 자리 정리)5단계 폐기물 정리
(묘지석 정리)파묘의 절차 첫 번째 1단계는 종교행사 예식부터 진행됩니다. 일반적으로 제를 지내거나 간단하게 절을 올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기독교 나 천주교 가정의 경우 예배나 기도를 드리고 시작합니다.
2단계는 봉분을 허무는 작업이 진행됩니다. 봉분 둘레석을 치우고 잔디봉을 허무는 작업입니다. 봉안묘나 납골묘의 경우 덮개를 개방하는 절차가 되겠습니다.
3단계는 유골수습 과정입니다. 이때 유골 수습은 화장용 관에 넣는 절차까지 함께 포함된 절차가 되겠습니다. 화장된 유골의 경우 유골함을 교체하여 수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유골 수습이 끝나면 4단계로 안정된 자리를 메우는 복토가 행해집니다. 마지막 5단계는 묘지에 있는 비석이나 상석 등 묘지석을 치우고 정리하는 단계입니다. 일반적으로 묘지석은 폐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파묘하는 무덤의 종류
파묘하는 무덤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파묘하는 방법이 아니라 파묘하는 무덤이나 묘지의 종류가 다르다는 것이죠. 일반적으로 파묘하는 무덤은 매장묘가 가장 많습니다.
매장묘 평장묘 봉안묘 납골묘 수목장 잔디장 합장묘 단장묘 고인을 모시는 장법이나 시설에 따라 다양한 무덤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무덤을 묘지나 분묘로 이해해도 좋겠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파묘는 보통 매장묘의 파묘를 일컫습니다.
4. 파묘를 진행하는 전문가와 비용
일반적으로 파묘는 가족들이 직접 시행하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장의사, 장례지도사, 장례식장, 상조회사 등을 통해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곳에 의뢰하더라도 비용은 거의 비슷합니다. 파묘하는 작업의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참고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파묘는 단독적으로 비용 책정이 되지 않습니다. 이장 비용과 함께 청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022.08.24 - [장례문화] - 묘지 이장 비용 이렇게 산출됩니다!
묘지 이장 비용 이렇게 산출됩니다!
묘지 이장 비용이 어떻게 산출되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묘지 이장 비용이 얼마나 드시는지 일일이 알아보시고 비교하시는 게 쉽지 않으실 것 같습니다. 전문성이 높은 분야이고 또 어떤
givestory.tistory.com
지금까지 파묘의 정의와 절차, 종류, 전문가와 비용에 대해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이제는 파묘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이해하셨으리라 생각됩니다. 조금이나마 장례문화를 이해하시는 데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장사행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망보험금 상속세 과세 여부 확인 및 절세 핵꿀팁 (0) 2022.10.06 개장 신고서 쉽게 작성하는 방법 및 절차 안내 (1) 2022.09.30 묘지 이장 비용 이렇게 산출됩니다! (0) 2022.08.24 사망 후 해야할 일 5가지는 꼭 챙기세요 (0) 2022.07.28 e하늘 장사정보시스템 유용하게 활용하는 방법 (0) 2022.07.26